행운의 상징물 - 행운을 가져다 주는 럭키 심벌

2020. 1. 2. 14:00STUDY/풍수지리

 

1. 좋은 곳으로 인도하는 행운의 열쇠 

우리나라에서 열쇠는 한 집안의 살림을 총괄하는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물건이었기 때문에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한편 독일에서는 임신한 여성이 열쇠를 지니고 있으면 순산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그리스인들은 우박과 씨라기눈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 밭이나 과수원 주위에 열쇠를 매달았다. 

2. 행운의 숫자 7 

숫자 7은 오래전부터 서양의 기독교에서 행운의 숫자로 불려왔다. 7은 성부, 성자, 성령 3이라는 하늘의 완전수와 동, 서, 남, 북 4라는 땅의 완전수가 더해진 숫자로, 이는 곧 하늘과 땅이 합해져 완전수가 되며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믿었다. 또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의 천지창조가 7일 동안 이루어졌다고 해서 7을 신성시 했다. 

3. 번영을 상징하는 거미와 거미줄  

예로부터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왕실에서는 거미가 거미줄을 치는 모습이 나라의 번영을 예언한다고 믿었다. 특히 작고 붉은 개미를 '동전거미 (Money Spider)'라고 해서 경제적 번영의 길조로 보았다. 영국에서는 거미를 모자에 던지면 돈이 생긴다고 믿었으며, 프랑스에서는 거미가 손 위를 지나가면 그 사람에게 좋은 일이 연속으로 생기고, 집 짓는 거미가 방안으로 들어오면 재물이 생긴다고 믿었다. 또 그리스도교의 전설에 의하면 성가족이 이집트로 도피하려다가 어느 동굴에 몸을 숨겼을 때 거미가 입구에 거미줄을 쳐서 추격자의 눈을 피할 수 있었다는 소문이 돌면서 거미를 액운을 막는 존재로 여겼다. 

4. 유령을 쫓는 편자   

예로부터 유럽에서는 말발굽 소리가 유령을 쫓는다고 믿었다. 편자 (말발굽을 보호하기 위해서 장착하는 쇠붙이)를 집안이나 현관, 차나 몸에 지니고 다니면 좋다고 믿었는데, 편자를 걸 때 말발굽이 아래로 향하게 걸면 액운을 쫓고, 위로 향하게 하면 행운을 불러들인다고 여겼다. '편자를 발견하면 행운이 온다 (If you find a horseshoe, you'll have a good luck)'라는 속담도 이런 말발굽의 유래에서 생겨난 것이다.

5. 유럽왕실의 권력을 상징하는 꿀벌    

유럽은 오래전부터 마치 꿀벌의 세계와 같이 입헌 군주 체제였다. 때문에 유럽 왕실에서는 꿀벌을 권력의 상징이자, 풍요, 지성, 영원불멸 등을 의미하는 행운의 표상으로 여겼다. 특히 나폴레옹 1세가 선호했던 황금 꿀벌은 그의 지위와 업적을 기리고 프랑스 혈통과 연결시키기 위한 역사적인 아이콘으로 대접받아왔다.

6. 유럽왕실의 권력을 상징하는 꿀벌    

유럽은 오래전부터 마치 꿀벌의 세계와 같이 입헌 군주 체제였다. 때문에 유럽 왕실에서는 꿀벌을 권력의 상징이자, 풍요, 지성, 영원불멸 등을 의미하는 행운의 표상으로 여겼다. 특히 나폴레옹 1세가 선호했던 황금 꿀벌은 그의 지위와 업적을 기리고 프랑스 혈통과 연결시키기 위한 역사적인 아이콘으로 대접받아왔다.

7. 장수와 복을 상징하는 거북     

거북은 장수의 동물 십장생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복을 불러들이는 동물이라고 여겼다. 우리 조상은 그물에 잡힌 거북이에게 막걸리를 먹여 보내주면 물고기를 많이 몰고 온다고 해 잡아먹지 않았다. 또, 거북은 은혜를 갚는 동물로 설화 속에도 많이 등장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이제현의 <역옹패설>에 나온 이야기로 거북을 살려주고 거북의 도움으로 3대가 재상이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8. 지혜와 풍요의 상징 뱀     

불멸의 상징인 뱀은 헬레니즘 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사랑을 받는 행운의 모티브다. 사람들은 뱀이 지혜와 풍요를 의미해 금전운을 상승시킨다고 믿어왔고, 동면과 탈피를 하는 특징 덕에 재생과 부활의 상징으로도 여겨졌다. 

9. 성모 마리아를 상징하는 무당벌레     

중세 유럽의 농부들은 벌레를 농작물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 존재로 여겼다. 그들은 벌레에 의한 농작물 피해를 막고자 성모 마리아에게 도움을 청하는 기도를 올렸고, 곧 무당벌레가 나타나 농작물을 망치는 벌레들을 모두 먹어치웠다. 이를 본 한 농부가 무당벌레를 'The beetles of our Lady (성모 마리아)'라고 부르기 시작했고, 차츰 'Ladybugs'라는 이름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때문에 유럽에서는 예로부터 무당벌레를 성모마리아 벌레라고 불렀고, 무당벌레를 보면 행운이 온다는 속담도 생기게 되었다. 

10. 그레이스 켈리를 왕비로 만든 2달러 지폐      

미국 2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의 초상화가 그려진 2달러 지폐는 1928년 처음 발행될 때부터 지불 수단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오히려 노다지를 꿈꾸며 서부로 향하던 개척자들이 척박한 대륙을 횡단하는 동안 몰려드는 두려움과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숫자 2를 신봉하면서 몸에 지니고 다니는 화폐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영화 <상류사회>에서 여주인공을 맡았던 그레이스 켈리가 상대역이었던 프랭크 시나트라가 선물한 2달러 지폐를 받은 뒤 모나코 왕비가 되자 행운의 상징으로 자리매김 했다. 이때부터 2달러는 물건을 사고파는 수단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선물로 주고받는 행운의 지폐가 되었다.

11. 나폴레옹의 목숨을 구해준 네잎클로버       

나폴레옹이 전쟁 도중 발밑에 네잎클로버를 발견하고 그걸 주우려 허리를 굽히는 순간 머리 위로 총탄이 날아가 목숨을 건졌다는 일화에서 유래됐다. 네잎클로버가 나폴레옹의 목숨을 구해주었다고 여겨 그때부터 행운의 상징이 되었다.